[학위논문] The Extractive Institutionalization of North Korean Marketization: Dual Market Dynamics and Regional Disparities
...경제 관리 방법'과 같은 정책적 대응(개혁)의 내용을 분석하여 파편화된 경제 지형과 지속적인 불균형성을 밝혔다. 4장에서는 3장의 이중적
시장화에 대한 인식적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로부터의
시장화에 초점을 맞추어, 지방경제에서 자력갱생 형태로 시작된
시장화를 논증 하였다. 구체적으로 계획의 방임, 지방 인민의 경제활동, 가격 개혁, 공급과 수요에 따른
시장화, 내수경제 형성, 자본 축적의 시장적 요소의 성장과 태동을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이러한 지방경제의
아래로부터
시장화 활동이 확대될수록, 특권경제 권의 위로부터
시장화에 의해 이들의 시장활동과 잉여가 약탈되는 지대추구적 경향 을 논증하였다. 주요 분석 초점은 특권 핵심부가 어떻게 제도적 위계를 활용해 지방 경제에서 생성된 잉여가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