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대북NGO의북한인도적지원및개발협력활동의책무성인식에대한탐색적연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한국 대북NGO의 책무성 및 책무성 구성요소는 한국 개발 NGO의 책무성 프레임워크의 6가지 구성요소를 일부 수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책무성의 궁극적인 목적인 평화를 포함하고, 일반시민까지 책무성 주체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책무성 프레임워크를 기능적으로만 활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책무성은 시대적 변화, 의무 부과 주체, 성과, 단/장기의 시간적인 관점 등 변화하는 개념이기에,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책무성 프레임워크를 적용해가면서 그 의미를 더욱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단체별 역량의 차이, 개별단체 뿐만 아니라 한국 대북NGO 그룹에 대한
영향력, 다양한 주체에 대한 책무성의 딜레마를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