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통일 이후 통합방안: 민족주의와 편익을 넘어선 통일담론의 모색
...상충되는 것을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통일국가정체성은 복합성을 띠어야 할 것이다. 통일국가정체성은 개인과 공동체의 균형, 사회의 자율성과 국가의 역할, 공동체의 대외관계, 공동체 가치의 보편성과 특수성 등이 결합되는 복합성을 띠어야 한다. 셋째, 통일국가정체성은 역동성을 띠어야 할 것이다. 통일국가의 정체성은 통일준비단계, 통일협상단계, 통일 이후 통합단계를 거치면서 골격을 갖추고 변화하고 진화할 것이다. 통일국가정체성은 어느 한 시점에 완성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긴 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지고 전환되며 변형되는 과정을 거칠 것이다. 더욱이 통일국가정체성은 남한 주민과 북한 주민이 국내환경의 변화, 국제환경의 변화,
위기에 대한 작용과 반작용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