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판적 한반도학의 시각으로 본 북조선 연구 - 탈분단시대 지역학의 탐색
...지역학으로서 ‘비판적 한반도학’을 제안한다. 공간의 다중성과 복합성, 주체의 다양성, 그리고 다양성 속에 통합을 추구하는 문제 해결 능력이라는 세 가지 관점은 비판적 한반도학의 출발점이다. 비판적 한반도학의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북조선 연구, 그중에서도 특히 각종 국가론은 북조선 내부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간과하는 특수·
일원론적인 경향이 강한 문제점이 있다. 탈분단적 사고에 많은 영향을 미친 ‘내재적 접근방법’ 또한 같은 문제점이 있다. 비판적 한반도학이 다양한 계층, 개인들의 고통과 고민에 응답함을 주된 방향으로 설정한다고 할 때, 이 한반도학이 성립 가능할 것인가의 여부는 얼마나 풍부하게 한반도 주민들의 삶과 생각을 다양성, 다성성, 역동성의 관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