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 소설의 징후적 변화 양상 고찰 – 7차 당대회(2016) 이후의 대표 소설을 중심으로
...2018년 남한에서도 출간되어 풍부한 감정이 생생하게 살아 있는
입체적
인물들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북한문학의 새로움을 선사한다. 대표적으로 지배인 홍유철이 최국락을 은퇴시키거나 자식에게 폭언을 퍼붓는 모습, 운전수 최국락이 가부장적 모습을 보이거나 강제 명퇴를 당하는 씁쓸한 형상, 진순영의 드라마적 오해와 자식에 대한 과잉 보호, 오순의 상급자 집안에 대한 분노와 감정의 직설적 표현, 기옥의 과감하고 솔직한 타인 평가 등은 북한문학의 새로움이자
생동감에 해당한다. 결국 이 작품은 등장인물의 내면 심리의 유연성과 유동성을 포착하여 기존의 북한 소설 속 획일화된 캐릭터의 면모에서 벗어난
인물을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그
입체적
인물의 형상화는 언어의 세련된 구사와 적실한 묘사가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