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The Politic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ducts’ Rules of Origin in the Context of Korea’s FTAs with the U.S. and the EU
...한국은 싱가포르, EFTA, ASEAN, 인도, 페루와 FTA 협상을 체결하며 개성공단 역외가공을 인정받았다. 논문은 한미 FTA를 기점으로 한국의 FTA 협상 파트너들이 개성공단 문제를 경제 관점이 아닌 남북관계의 특수한 측면으로 다뤘다는 주장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이 시기에는 미국과 유럽 모두 FTA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는 저임금
저
개발국으로부터의 무분별한 수입에 대한 반대가 커지고 있었다. 연구는 개성의 값싼 섬유제품에 반대하는 미국 의회와 이익 단체, 무역 협상에서 노동과 인권을 강조하는 유럽 의회와 시민사회, 자국 섬유산업을 보호하려는 이탈리아 국내 이해관계자 등 다양한 정부 및 시민사회 그리고 경제 행위자들이 국내 의사결정과 국제 협상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주목한다. 연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