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층소된 사회정체성 구조에서 정체성 불확실성과 내집단 동일시, 남북한 화해 태도 및 행동의도 간 관계
본 연구는 민족정체성과 국가
정체성으로 구분되는 한국인의 다층 사회
정체성
불확실성 및 동일시와 남북한 화해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도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한민국 거주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한 결과, 한민족
정체성과 남한
정체성의
불
확실
성과 동일시, 그리고 남북한 화해에 대한 태도 및 행동의도에서 성별, 연령대, 학력, 거주지역,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가설화한 경로모형 검증 결과, 한민족
정체성
불
확실
성은 남한에 대한 동일시와 상관이 없었지만, 남한
정체성
불
확실
성은 한민족에 대한 동일시를 정적으로 예측하고 한민족 동일시가 남북한 화해 태도를 매개로 화해 행동의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상위범주와 하위범주
정체성
불
확실
성과 동일시 간 비대칭적 상보성 가정(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