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과학]
...otherwise.
8. Additional information boxes titled ‘Find Out’ are includ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o provide readers with more detailed information from relevant experts’ suggestions. An explanation of how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has aggravated the suffering of its people is also includ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on pages 64-70.
[통일/남북관계]
...저자 엄상현 목사의 박사학위 논문이다. “한반도 통일정책과 한국교회 통일운동에 대한 디아코니아 신학적 평가 - 88선언을 중심으로”(Diakonian Theological Evaluation of the Unification Policy of Korea and the Unification Movement of the Korean Churches)를 제목으로 하는 논문이다. 부제가 말하듯 이 책, 이 논문의 핵심 내용이자 통일정책의 방향은 “88선언”에 있다. 한국교회사는 물론이고 한국의 통일 논의에서도 가장 획기적이자 종합적이며 바람직하다고 평가받는 “88선언”의 공식 명칭은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1988년 2월 29일)이다...
[통일/남북관계]
2024 통일백서 영문판
도서 PDF 받기:_2024 통일백서 영문판(Unification White Paper)
[학술논문] 통일 한국을 향한 한국 교회의 선교적 사명
...Korean. The writer thinks that the unification of Germany will be a good example and potential model for Korean unification. Korean churches should learn from what and how German churches contributed for the unification of Germany. In the process of German unification, the churches carried out a pivotal role as priming water. German church eagerly worked for unification and reconciliation of the churches...
[학술논문] 비평가 김현과 분단에 대한 제 3의 사유
...based on culturally liberalistic beliefs was not only different from the 'discourse of territorial division era' but it also excavated a new idea far from nationalism and popular theory of unification of that period. Such an idea is needed again in that the problem of territorial division is displaced with that of freedom and deeply related to marginalization of social minorities in the area...
[학술논문] 6·25 전쟁~1950년대 후반 북한의 평화운동
...post war period of 1950s. Also analyzed here is the movement’s logic, in terms of the 1950s’ international situation. Linking the peace movement with the domestic plan for peaceful unification, North Korea used the peace movement as an advertisement agenda at home and abroad. Moreover, North Korea mobilized its citizens into a reunification project through the peace movement. After the...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과 군사통합 (군사적 과제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한반도 통일이 가시화되고 여건이 조성되어 남북한 군사통합을 추진하게 될 때 무엇을 준비하고 실행해야 하는가를 군사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 상황에서 남북한 통일의 시기를 예단하기는 제한되나 군사적 폭력을 관리하는 군사통합은 평시부터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만일 군사통합이 실패하면 통일 자체도 위태롭게 되기 때문에 실천적 측면에서 정교한 준비가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의 주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반도에 적합한 군사통합의 유형과 전제조건은 무엇인가? 남북한 군사통합 추진 시 군사적 과제는 무엇인가? 이중 핵심과제와 중요과제는 무엇이고 실천적 측면에서 어떻게 준비되어야 하는가?
[학술논문] 통일 후 북한지역 영·유아 대상 예방접종체계 수복을 위한 선행연구
Background: 8,000 children in North Korea died before they reached the 1 year after births in 2013. The high mortality rate of children under five years of age is mainly caused by infectious diseases and malnutrition. The need for national pediatric immunization and supply of vaccines will be vital when the abrupt reunification occur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pediatr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