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학 분석 연구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내용 측면에서는 조선어교육이 ‘조선어기능교육론’, ‘조선어지식교육론’, ‘조선어문화교육론’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구성 측면에서는 ‘조선어교육과정론’, ‘조선어교육방법론’, ‘조선어교육평가론’, ‘조선어교재론’, ‘조선어교수자론’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학은 아직까지 남한에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고 밝혀내야 할 내용이 산재해 있는 만큼 꾸준한 관심을 통해 한국어교육의 범위를 넓히고
통일
이후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