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망 및 우리의 대응방향
...가능성이 큰데, 이는 사실상 ‘전략적 인내
2.
0’의 입장을 취했던 바이든 행정부에 비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상대하기 쉽고 운신 폭이 넓어질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럼프
2기 행정부 하에서의 조기 미북협상 전망에는 3가지의 촉진요인과 3가지의 장애요인이 동시에 존재한다. 촉진요인은 이미 김정은 국무위원장(이하 김정은)을 상대해 본 경험과 자신감, 그에 대해 적절한 통제나 조언을 할 수 있는 참모그룹의 부재, 그리고 미북 협상이 지니는 한국에 대한 레버리지의 고려이다. 반면, 장애요인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및 이스라엘을 중심으로 한 중동 정세 안정 등 대외정책에 있어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쟁점들의 존재, 2019년
2월 하노이 ‘노딜’ 당시에 형성되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