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25전쟁 초기 북한군 도하작전의 실패요인 연구 - 한강 도하 사례를 중심으로 -
...교리를 보유했지만 실제 이를 체득할 시간이 부족했다. 또한 도하에 필요한 주요장비는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늦게 도착했기 때문에 이를 운용해 볼 시간이 부족했고 도하훈련 역시도 실전을 고려하지 않고 행정적으로 수행되었다. 결국 북한군은 전쟁 초기의 도하작전 준비가 부족했다. 한강 도하에서 북한군은 승리를 위한 결정적인 기회를 상실했다. 김포 방면의
6사단과 서울 방면의 3사단, 4사단, 105전차사단은 각각
6일, 8일 지연됨으로써 전쟁목표를 달성하는데 실패했다. 소련군의 도하작전 교리에서 강조된 정찰, 침투, 기만, 화력지원, 제병협동 등의 전술적 원칙들은 한강에서 전혀 실현되지 않았다. 한강 도하에서의 실패를 교훈으로 삼아 북한군은 전술적인 과오를 개선했지만 이미 결정적인 승리의 기회를 상실한 뒤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