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 이후(1945~1950) 북한 방직공업 정책의 전개와 성격 - 식민지 경제유산의 계승과 극복 과정에 분단이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조선공업화의 결과물들이 한반도 북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던 반면,
경공업에 있어서는 정반대였다. 특히 방직공업의 경우, 직물 제조의 기본 과정인 방적설비의 대다수가 한반도 남부 지역에 위치하여, 38선 이북에는 15.1%만이 존재할 뿐이었다. 북한 지도자들은 우선 38선 이북에 위치한 소수의 방직공업 시설들을 복구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아울러 1947・1948년 인민경제계획 기간 동안 이루어진 방직공업 복구는 과거 전시체제기 일본 자본에 의하여 이루어진
경공업 발전 계획을 계승・유지한 측면을 갖는다. 그러나 끝내 남과 북에 각각의 단독 정부 수립이 이루어짐에 따라, 남한과의 경제통합 가능성 역시 현실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북한의 방직공업
정책은 신규방적시설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였다. 1948년 9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