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투키디데스 함정의 국제질서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가능성 모색 - Graham Allison 이론을 중심으로
...후 지금까지 국제정치 질서에서 핵무기의 용도가 군사적 수단 보다는 정치적 수단이었다는 점에서 볼 때, 북한의 핵 문제는 군사적 문제로서 접근하기 보다는 한반도에서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이 더 타당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위해 북한과 미국 정상
회담을 2차례 가졌다. 그러나 이러한
회담과 더불어 북한과 중국의 정상
회담 역시 3차례나 가졌으며,
고위급
회담도 수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중국은 북한의 5차, 6차 핵실험 이후 가져왔던 태도와는 달리 북한의 환심을 사기 위하여 김정은을 특별 초청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것은 한반도 비핵화와 더불어 한반도 내에서 전개될 수 있는 미국 중심의 한반도 질서 재편에 대한 부담감과 경계가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