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일한인 사회의 제1~3 통일운동 비교
...기여하였다. 원코리아페스티벌의 경우, 통일과 축제의 접목, 통일운동의 외연 확 산, 자이니치 통일의식 함양, 생활중심의 통일운동을 전개하였다. 한계로는 첫째, 민단과 조총련은 타
단체의 통일운동을 배척하거나, 무관심하면 서 이단적 통일론으로 인식, 동포 전체로의 확산 미흡, 정책과
활동의 자율성 제약 과 비탄력성, 통합의 기제 역할 미흡. 둘째, 중립화통일론은 남북한 및 민단·조총련 의 배척에 따른 대중성 확보의 미흡, 이상주의적 통일론, 남북한 정권의 역할 축소 이다. 셋째, 한통련은 친북한적 통일운동 전개, 진보성향의 소수 참여, 민단의 한통련 배척으로
활동의 제약, 그리고 원코리아페스티벌은 선언적 통일운동에 치중, 대중적 확산 미흡, 민단과 조총련 견제, 민간단체의 제한적
활동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