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한국인의 대북 심리 인식, 정서, 이미지, 그리고 그 근원
...다양한
심리가 존재할 수 있다. 문제는 이 정서나
심리가 상대 국가에 대한 정책의 방향을 좌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두려움을 배경으로 한 적대감이라면 이는 상대방의 안보딜레마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반대로, 증오가 자리잡고 있다면 군사적 응징이나 전쟁으로 발전될 위험도 있다. 따라서 대외정책을 결정하는 데 있어 외형적으로 나타나는 단선적 인식 차원을 넘어 그
심리적 저변을 탐구해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대북 정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우리 국민의 북한에 대한 인식 저변이 어떤 것인지를 알아야 불안을 해소하거나, 국민 다수가 실제로 공감하거나, 그로 인해 광범위한 정책적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대북 정책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국민이 북한에 느끼는
심리의 저변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