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동·기록 매체·표준 조선어 -李克魯에 關하여
...편찬하는 일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 그는 1948년 이후 북한에 체류하면서 북한의
언어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그 이후 한국에서 이극로는 망각된 이름으로 남아 있다가, 2019년 『이극로 전집』이 간행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극로의 조선어 운동이 조선어의 표준화를 지향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표준화에 대한 관념은, 에릭 홉스봄(Eric Hobsbawm)이 말한 바 있는 표준화된 세계를 여행하고 다양한 기록
미디어를 경험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이극로는 필사(筆寫), 등사(謄寫), 타자기, 전보, 활자, 인쇄기, 녹음기 등 기록
미디어에 대한 경험을 축적하는 과정에서 조선어 표준화에 대한 사상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동,
미디어, 표준화는 이극로의 삶과 사상을 대변하며, 근대성과 식민성의 복잡한 역사적 관련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