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최근 중동사태에 비추어본 북한 체제지속성 연구
...붕괴에 치명적 역할을 수행했으며, 오직 이 상황을 인식할 때 현재 벌어지고 있는 이집트 혁명극의 제2막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집트 독재체제는 군사쿠데타(Nasser와 Free Officer 그룹의 1952 쿠데타)로 탄생했다. 그러나 바로 공군장성 출신 대통령 무바라크는 역설적으로 군부의 방관 속에 종결된다. 이집트군부의 대응은 아사드 대통령과
운명을 같이 하려는 듯 시민학살을 감행하였고, 이는 내란상황과 국제 압력을 감내하고 있는 시리아 군부와는 큰 대조를 보인다. 시리아 아사드 정권은 격렬한 내전 상황에서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 엘리트 포섭을 통한 강고한 엘리트 지배연합구성, 대중포섭을 통한 최소한의 통치기반 유지, 그리고 러시아의 지원이라는 세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