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개장 전투의 전사적 재조명-전사 기술내용의 차이점 분석과 전사적 의의를 중심으로 -
...자료의 기술내용을 바탕으로 본 화개장 전투의 전사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개장 전투의 학도의용군은 어느 특정한
정규군에 지속적으로 배속되어 활동하지 않고 독립부대이면서 독자적으로 부대를 유지하면서 활동하였다. 둘째, 이들의 무장을 보면 개인화기로는 M1소총, 공용화기는 기관총 2정, 2,36“로켓포 2문이 전부로 전차로 무장된 북한군 정예 6사단에 비해 현저하게 전투력이 열세한 상황에서 맞서 싸워 적에게 큰 피해를 입혔고 셋째, 방어 시 공세적 활동으로 전술적 기습효과를 달성하였으며 넷째, 이 전투로 인해 하동~진주~마산을 거쳐 부산을 점령하려던
북한 정예군의 진로가 1주일 이상 지연되어 유엔군에게 낙동강 최후 방어선 전열 구축에 필요한 귀중한 시간을 제공해주면서 유엔군의 낙동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