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양시 도시미화 담론과 상징경관 연구 - 김정일, 김정은 시기의 비교 -
...대내외적으로 불안정한 배경 속에서 다른동구권 사회주의나 이전 시대의 정치적 라이벌과 차별화를 꾀함으로써 후계체제 구축을 정당화하고자 주체사상을전유한 주체건축과 그에 필요한 미학적 원칙을 표방했다. 그 결과 평양시의 광복거리와 같은 대표경관도 권력지향적 상징성과 주체적 특성(자주성, 민족성 등)을 강조하게 되었다. 반면 김정은 시기의 도시미화 담론과 경관은 비교적
선진적, 과학적, 실용적인 현대 건축을 추구하고자 했지만 마찬가지로 권력지향적 상징성과 웅장함을 내세우는기념비적 건축에 몰두하고 미래과학자거리나 려명거리와 같은 대표경관을 대외 선전에 이용하는 경향이 다분했다. 김정일과 김정은 시기 모두 평양시 도시미화 담론과 경관이 지도자 혹은 체제의 위대성을 상징하는 데 최우선적인목표를 두고 있지만, 김정일 시기의 건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