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쳐 쓴 식민 기억과 잊혀진 텍스트, 냉전의 두 가지 징후: 이태준의 「해방전후」 개작 연구
...기관지 『문학』에 발표된 이태준의 「해방전후」는
식민 말기와 해방 직후의 한반도 정세, 작가의
식민 경험과 해방이후 문단 상황, (탈)
식민 지식인의 내면에 대한 문학적 증언으로서 그 문학사적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이 작품이 1949년 평양 문화전선사에서 간행된 이태준의 작품집 『첫 전투』에 재수록될 때, 개작되어 실렸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논문은 「해방전후」의 1949년 개작이 초기 북한의 문화정책과 월북 이후 이태준의 내면을 읽어내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판단 하에, 「해방전후」의 1946년과 1949년 두판본을 비교 분석한다. 이 논문은 특히 1949년 판본에 드러나는
식민
기억의 변화에 주목하여, 식민지 시기와 해방의 순간이
기억되는 방식, 작가 자신의 시국협력 행위와 식민지 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