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 통일 과정에서의 구동독지역 인구이동과 도시발전 및 한반도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
...정체되었다. 셋째, 북한에서 인구이동은 매우 낮은 수준에 불과하다. 이 또한 역시 북한에서 인구이동을 억제하는 정책이 여전히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인구이동의 방향은 농촌 보다는 주로 도시이며, 북한의 시도간 인구이동에서 주요 인구유입지역은 평양 및 평안남도 등 평양 수도권역이다. 다섯째, 여성이 남성보다 다소 인구이동률이 높고, 젊은
연령층(예: 25~29세)층에서 인구이동이 크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여섯째, 북한의 시장경제로의 체제전환을 가정할 경우 인구이동의 유형은 개혁․개방의 단계별 진전도에 따라 인구이동규모도 달라질 것이다. 북한의 시장경제로의 바람직한 체제전환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첫째, 북한 체제전환 초기에는 북한 내 유의할 만한 수준의 인구이동이 발생할 것 같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