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 공동주거의 형성요인과 변화과정 : 모더니즘, 사회주의, 통치의 도시계획의 균형과 균열
...바탕으로 계획되었다. 이에 1950년대 후반부터 주택+공용시설(봉사시설)의 구조로 정식화되었으며, 공용시설로서 사상·교양시설, 배급시설, 공동 취사시설, 공동 생산시설 등이 자리 잡게 되었다. 이와 함께 공동생활의 운영을 위해
인민반, 여성동맹 등이 조직되어 공식적 실천 및 관계망을 형성·강화하며 주민들이 갖추어야 할 집단주의적 규범과 가치관을 학습하고 장려해왔다. 따라서 계획경제 하에 북한에서는 공동주거와 봉사시설이라는 물리적 환경을 조성하고
인민반, 여성동맹이라는 조직체계를 구축하여, 생활공간과 집단적 실천, 그리고 그것을 통해 (재)생산된 관계망이 형성과 발전을 거듭해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통치의 도시계획의 관점에서, 북한의 3대 체제는 당면한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