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 PTSD에 관한 메타분석
...실시하였다((N=3,400). 자료검색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주요 변인은 성별, 연령별, 연구샘플, 문화
적응
스트레스, 불안, 자존감, 사회적 지지, 개입프로그램 8개였다. 성별에 따른 북한이탈주민의 우울(r=-.003)과 PTSD(r=-.025) 간의 평균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반면, 종속변수의 종류, 연령별, 샘플크기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200명 이상의 여성 북한이탈주민이 200명 이하의 남성 북한이탈주민 연구에 비해 우울이나 PTSD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관련변인의 효과크기를 검증한 결과 우울과 PTSD에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은 문화
적응
스트레스변인이었고(=.235), 효과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사회적 지지(=-.076)였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