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드(THAAD)의 국제정치학: 중첩적 안보 딜레마와 한국의 전략적 대안
...“배치”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선택지에서
한국의 사드에 대한
전략적
대안은 네 가지이다. 첫째, 미국이 좀 더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드는 한·미 “동맹결정”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둘째,
한국이 매우 좁아진 선택지에서 한·중 정상회담과 같은 외교적 현안을 조기에 성사시키려 해서는 안 된다. 무리한 외교 일정 추진으로
한국이 치러야할 대가가 너무 클 수 있고, 알맞은 시기도 아니다. 셋째, 중국의 불합리한 외교적, 경제적 보복에 대해서 일희일비 할 필요가 없다. 어느 정도의 대가를 치를 생각을 하고 감내하면서 해결 노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다. 중국도
한국에 가하는 제재가 언젠가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것을 알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