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 통일교육사례와 한반도 통일교육의 개선 방안: 이론적 고찰과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매우 컸다. 이는 통합을 위한 지속적인 통일교육과 외교적 노력을 통하여 국제사회의 동의를 이끌어 내었으며, 그 결과 독일통일은 유럽의 통합과 세계적 통합으로의 가능 성을 열었다. 이러한 독일의 통일교육과 과정은 한반도의 시사점이 적지 않다. 물론 역사적, 정치적인 차이점은 존재한다. 독일의 통일과정과 주입식, 강제성을 지양하고, 다양한 교육 주체와 민주주의적 가치교육을 통한 지속적인 통일교육의 중요성이 근간이 되었다고 평가되어 진다. 본 연구는 독일의 통일 교육 사례를 통해, 한반도 통일 교육의 방향성과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통일교육의 방향성과 방법론에 있어 오늘날 대한민국의 세계적
위상에 부합되고, 협력을 지향하는 글로벌한 통일교육으로의 방법론적인 측면의 전환이 필수적으로 수용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