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푸틴-아베 재집권(2012)이후 러·일 관계변화 동인과 전략적 함의
... 측면에서 서로 조율이 필요한데다 양국 모두 중국 딜레마를 해소해야 하는 지정학적 전략 구상과 맞닿아 있으며, 결과적으로 동아시아 역내 위상 제고, 중국에 대한 견제, 일본을 통한 러시아의 대미
관계 개선, 러시아의 동방정책 성공과 동북아 영향력 확대, 일본의 전략적 위상 강화 등을 가능케 하고 극동·북극 지역 개발협력을 촉진시킬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러 및 미중
관계 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한국으로서는
러·
일
관계 강화를 한반도 통일여건 조성에 활용하고, 역내 역학구도 변화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여 우리의 입지를 보다 강화시킬 전략적 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