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통제하의 북한예술
...그 단편적인 행모만을 일방적으로 전할 뿐, 전모를 파악할 만한 전면적인 개방은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저자는 남북한 양쪽의 정황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북한의 현대사를 서술하고 있으며, 이 바탕 위에서 북한의 예술사를 개설하고 있다. 또 이러한 서술들은 국가 이데올로기에 따른 예술의 기능이, 중국, 소련과 더불어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기본 방향으로 삼았던 또 다른 사회주의 국가 북한의 예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뿐더러, 결국 오늘의 북한 예술을 만든 건 국가 존립에 종사하는 예술뿐이었다는 귀결을 가져온다. 더욱이 서술의 방법적 측면에서 정치, 사회 변화에 따른 역사적 추이는 균형 잡힌 시각에서 북한미술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자칫 시각적인 양식분석에 치우쳐 해석의 오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