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
문화적 유능감에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는데, 사회적 정체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에 비해 북한 문화 지향성은 생활만족도에만 직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다른 심리적 적응 결과 지표에 대해서는 매개변인인 지각된
동화 압력을 거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북한 문화 지향성은 지각된
동화 압력에 정적 영향을, 지각된
동화 압력은 우울감에 정적 영향을, 사회적 정체감에 정적 영향을,
문화적 유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서 지각된
동화 압력은 북한 문화 지향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미치는 양가적인(ambivalent) 기능을 보여준다. 즉, 지각된
동화 압력이 클 경우 우울감을 강하게 느끼는 반면, 사회적 정체감과
문화적 유능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