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중 패권 경쟁 시기의 한미동맹
...연구에서는
미-
중 패권경쟁과 관련된 오르갠스키의 세력전이이론, 길핀의 패권전쟁론, 브랜즈-베클리의 ‘절정기 국력 함정’ 이론, 미어샤이머의 공세적 현실주의와 역외균형론, 그리고 동맹이론을 살펴보고 이러한 국제
관계이론이 예상하는 동맹과 관련된 주장들을 검토해보고 향후 한미동맹의 공고화를 위한 방안도 모색해본다. 대부분의 이론들은 단기적 차원에서 향후 한미동맹의 강화를 예상한다. 중국의 패권 도전에 직면해 있는 미국과 북한의 핵위협에 대비하는 한국은 공동의 이해관계를 위해 미국의 전략자산을 대거 동원하는 강도 높은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정례화하며, 한반도에 사드 미사일 방어 체제를 증강해 나가고, 확장억지 제공의 신뢰도를 최고 수준으로 높이기 위한 방안을 추진할 것을 예상한다. 또한 한일
관계 개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