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 통제 체제 속 북한 주민의 잠재적 시민사회 경험
본 연구는 국가 통제 체제 속에 살아가는
북한 주민들의 잠재적
시민사회 경험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시민사회지표(CSI)를 개념적 분석틀로 채택하고,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17명의
북한이탈주민과의 심층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환경 차원에서는 강화되는 국가 통제 속에서 맞서
북한 주민의 자율성이 경제, 정보, 문화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었다. 구조 차원에서는
북한식 비공식 연대(알쌈)가 형성되고,
북한식 풍자·우회 화법을 통한 비공식 여론이 형성되고 있었다. 가치 차원에서는
북한 주민의 가치관 변화, 비판적 저항 의식, 자기방어적 생존반응이 저항의 형태로 나타났다. 영향 차원에서는
북한 당국이 경제 영역에서는 통제 완화, 정치·사회문화 영역에서는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