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행 탈북이주자의 노동이동과 탈북결정요인
...구획하는 공식/비공식,
시장/국영부문의 네 가지 영역을 기본축으로 하여 직행파 탈북이주민 23사례를 성별/일자리유형별로 여성 11사례, 남성 12사례로 나누어 북한에서 노동이동의 흐름과 탈북요인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사실은 세 가지이다. 첫째, 북한 공식부문 국영경제(Ⅰ)에서 일하던 근로자들이 공적
시장경제부문(Ⅱ), 비공식국영경제(Ⅲ), 비공식
시장경제(Ⅳ)부문으로 이동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남녀별로 다른 행동패턴을 보였다. 둘째, 북한근로자는 자발적 노동이동 유무에 따라 집단노동참여유형과 개인이익추구유형의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또, 집단노동참여형은 상향이동여부에 따라 다시 경력추구형, 직업유지형으로 분화되었으며, 개인이익추구형은 이동선택지에 따라 다시
장
마당형, 정권기관형, 기업활용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