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자료를 통해 재론하는 오체르크와 실화문학의 계보
...이 계보를다시 명확히 확인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종군기, 전투기,
영웅전투기를 실화문학의 중요한기원으로 상정한 것을 보면, 실화문학은 북한인민군 중 실제 있었던 전쟁
영웅의 행적을 그린이야기가 건국 이후 출발점이다. 김일성의 식민지 행적, 즉 항일혁명투쟁의 내용은 북한 건국이전 전쟁기
영웅을 형상화하려는 실화문학의 대상이 된다. 이 부분은 1952년 리효운이 처음에 오체르크를 도입할 때, 그리고 1954년 한설야의 평론에서도 이미 명확히 규정된 바 있었다. 결국 북한의 실화문학은 북한 초기에 등장한 문학장르 오체르크의 일부 특성을 계승하면서 인물 오체르크라는 형태를 중심으로 변화한 것으로, 사회주의적 애국주의가 가득한 북한‘
영웅’의 실제 이야기를 작가, 즉 제3자가 형상화하는 것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