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통일, 사회통합을 위한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 통일교육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중심으로 학교 통일교육의 방식과 교육내용을 분석하고 학교 통일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통일교육 연구학교의 교육 내용과 방향을 살펴보았다. 통일교육 연구학교 총47개교를 대상으로 통일교육 내용을 분석해본 결과 초등학교는 프로그램, 환경조성, 체험,
교육과정 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학교는 통일의식, 프로그램, 환경조성, 지역사회 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등학교는 참여, 네트워크, 통일의식, 체험활동 등이 주요한 것으로 나타나 학교급별로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통일교육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환경조성, 북한에 대한 이해 부분에서는 다소 획일적인 모습이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며,
교육
과정과의 연계는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