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과 과제‒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하여 고구려사와 발해사연구가 크게 활성화되었다는 점, 세 번째, 다량의 목간과 다수의 금석문이 새로 발견되면서 고대사연구의 지평이 크게 확대되었다는 점, 네 번째, 고조선의 중심지와 낙랑군의 위치를 둘러싸고 이른바 상고사논쟁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이 와중에서 고대사학계에서 연구성과를 대중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적극 노력하였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남한의 이른바 재야사학자들과 북한학계에서
민족
주의와 애국주의를 강조하면서 고대사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향후
남북한 모두 ‘實事求是’와 탈
민족
주의적인 시각에 입각하여 고대사상을 구축하고, 합리적인 비판과 대안이 존중되는 학문 풍토를 정립하게 된다면, 이와 같은 한계는 충분히 극복되리라고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