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이탈여성의 모호한 상실감이 개인의 정신건강 및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과정을 통해 이전의 삶보다 더 깊이있는 가치와 목표를 지향해가는 개인의 성장 또한 가능할 수 있다고 보고된다(Dekel, 2007 Testoni et al., 2020 Wilson amp Cook, 2018). 이에 더하여, 모호한 상실은 개인 내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개인차원을 넘어서서 양육환경을 통해 가족 내 자녀의 적응에 관여할 가능
성도 제안되어 왔다(Dekel amp Goldblatt, 2008 Sangalang et al., 2017 Sangalang amp Vang, 2017 Qin, 2009).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모호한 상실감이 개인 및 가족 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되는 주요 기제를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