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후견·피후견 국가관계’ 역사로 본 남북통일 고찰
...북한정변은 두 가지의 축인 내부급변사태의 유무, 그리고 미연합군에 의한 침공의 여부 등에서 예상 가능성을 만들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두 축을 기준으로 내부급변・미연합군침공형(Ⅰ), 내부안정・미연합군침공형(Ⅱ), 내부급변・친미개방형(Ⅲ), 내부안정・친미개방형(Ⅳ) 등의 ‘북한정변의 4가지 유형’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한국은 안정적으로 북한이 내부안정・친미개방형(Ⅳ)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통일전략을 발휘해야 한다. 가령
한국은 북한,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에 대한 다자적인 외교력과 대화 채널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넷째, 청소년과 시민들에 대한 남북통일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은 물론 시민의 자발적인 자유민주 체제를 수호할 수 있는 시민
NGO의 활동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