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남북한 개발협력 사업에서 북한의 수용역량 개발 - 영유아 지원 사업, 협동농장 협력 사업, 인력 양성 사업의 사례 -
...옮겨가게 되었고, 수원국의 역량 개발이 핵심 주제, 우선 실천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해 수원국에 대한 물적 자원 투입보다 수원국 제도와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지만 제도와 정책도 수원국 스스로 개혁, 개선을 통해 진화되고 정착되는 점진적 과정을 필요로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어 수원국의 수용역량 개발에 우선 비중을 두게 되었다. 수원국의 수용역량은 “수원국이 저개발과 빈곤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지원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분배하고 활동하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진행되었던 영유아 지원 사업, 협동농장 협력 사업, 인력 양성 사업의 수용역량 개발 여부를 기준으로 성과와 한계, 원인 등을 분석하였다. 영유아 지원 사업 기간 중 유엔(UN) 새천년개발목표(MD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