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동서독 접경 1,400km: 그뤼네스 반트에서 DMZ의 미래를 보다
...국토 리모델링 차원에서도 필요한 사안이다. 남북한의 이해관계가 정치‧군사‧경제‧환경·문화 등의 측 면에서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DMZ・접경지역에서 남북한 이 평화적 협력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는 사실은, 바로 서로가 정치‧군사‧경제‧환경·문화 등 포괄적 측면에서 협력 관계를 형성하여 평화공존을 확고히 하겠다는 적극적인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한반도 통일 과정에서 DMZ・접경지 역의 평화적 이용이 가지는 의미는 1 한반도에 평화를 실질적으 로 도래시키고, 2 국토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며, 3 생물다양 성의 보고를 담은 생태
보존지역으로 가꾸면서 “인간과 환경”(Man and Biosphere)이 ‘윈-윈’ 하는 세계적 차원의 녹색성 장의 실현에 기여하여, 4 한반도에 인간다운 삶을 실현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