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식수 실태 분석을 통한 남북 수자원협력 중요성에 대한 소고
... 접근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4년 기준 개인수도 보급률 또한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수치는
북한의 식수 인프라가 일정 부분 개선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케 하나, 같은 해 ‘안전한 식수(safe drinking water)’ 이용률은 60.9%에 불과해, 접근성과 수질 간의 괴리를 드러낸다. 이는 개선된 수원이 반드시 식수의 안전성을 보장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단순한 수원 확보보다 수질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북한 식수
문제는 양적 접근성에 비해 질적 안전성이 현저히 낮다는 점이 핵심이다. 이는 수원과 수송 과정, 가정 내 수도 시스템에서의 대장균 오염 등으로 인해 실제 음용 가능한 식수의 비율이 크게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수원의 보호, 이동 과정의 오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