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시대를 대비한 북한형 콤팩트시티 연구: 개성시 적용 사례 검토
...280만㎡(약 85만평) 규모로 계산되었다. 콤팩트시티
위치는 도심 역사지구 보존, 도심과 개성공단 접근성, 남한과 주변 도시와의 연계성, 친환경 개인이동과 대중교통 접근성을 고려 개성 도심 동남쪽 2km에
위치한 손하역 인근이 검토되었다. 북한 이탈주민 12명과 진행한 북한 도시인프라 현황과 개성시 콤팩트시티 구상에 대한 심층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평양을 포함한 북한 도시는 전반적으로 열악한 철도, 도로, 상수도, 하수도, 주차 등에 문제가 심각했다. 인터뷰에 따르면 통일 시기 북한 인프라의 상당 비중은 개선뿐 아니라 철거 후 다시 건설해야 할 만큼 열악한 상태로 보인다. 개성시 콤팩트시티 구상안에 대해서는 고밀 개획 개념, 규모,
위치 등에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으며,
위치에 대한 추가 의견으로 도시 동남쪽은 무른 지반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