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韓國 신발産業의 戰略的 outsourcing으로 北韓進出에 관한 硏究
...외화수급사정을 완화할 수 있고, 북한 주민의 소득 및 고용증가, 북한 내 산업구조의 재편, 기술이전효과, 국제수지개선, 해외시장과의 연결
역할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북한의 「개성신발산업단지」는 남북한 주민이 공동으로 생산과정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경제협력 형태가 될 것이다. 남북한 주민간의 교류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공동으로 부가가치를 생산하여 그 과실을 나누는 경험은 지금까지의 서로 상충되는 이해관계를 공동의 이해관계로 전환하는 중요한 모델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신발업계,
언론이나 공청회,
정부기관 등에서 언급한 한국 신발산업의 북한진출 당위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를 활용하고, 신발, 섬유·의복 등 노동집약산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