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지원] [2022 통일나눔펀드 지원사업] 하나로 Talk & Play콘서트
...2부로 나누어 진행되며 1부는 남북문제를 조형화한 뮤지컬 공연된다. 2부는 작가와 배우 및 (사)남북 교육개발원 활동가, 실제 탈북민이 함께 어우러져 토크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된다. 뮤지컬 작품의 스토리텔링을 통해 자연스럽게 통일에 관한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평화통일 의 현 주소에 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면서 통일 공감대 형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 사업 추진 계기: 남북의 문제는 과거에서 현재, 또다시 미래로 이어지는 한반도 최대의 난제이다. 정치적, 국가적 차원의 이념으 로 접근하는 것이 현실적일 수 있겠지만 지난 70여년 동안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았다. 베를린장벽을 허문 것은 정치도 국가의 이념도 아니다. 국민들의 간절한 열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한반도의 정전(停戰)을 끝내고...
#뮤지컬 #남북문제 #Talk & Play 콘서트 #창작마을
[교육지원] [2021 통일나눔펀드 지원사업]뉴노멀 시대 한반도 평화통일과 MZ세대
...MZ세대’ 학술대회는 초기 사업 기획 시 구상했던 ‘신진연구자 연구 역량 강화’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적절한 사업이었음. - 실제 사업에 참여한 인원 역시 연구진이 조직하려던 정치·외교/ 평화·통일 / 경제·경협/ 사회·문화· 교육 / 보건·의료/ 재난·환경·SDGs 6개 부문의 틀에서 참여하였음. - 정치·외교/ 경제·경협/ 사회·문화/ 재난·환경·SDGs 4개 분야 연구자가 참여하여 북한학 연구분야의 저변을 넓힘. ◎ 효율성 - COVID-19...
#학술대회 #정치 #경제 #외교 #경협 #사회 #문화 #재난 #환경 #SDGs
[교육지원] [2022 통일나눔펀드 지원사업] 통일 ICT 전문가 아카데미
○ ICT는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및 방역, 방재, 의료, 관광 등 대부분의 남북 교류 협력의 근간이 될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애니메이션 개발 등 그 자체로도 남북 교류 협력의 큰 분야이고, 자본과 사회간접시설이 열악한 북한에서 단번도약을 위해 상당히 관심이 많은 분야이므로, 북한의 ICT에 대해 교육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 더구나 북한의 이동전화 가입자와 이용 분야가 늘어나고 인공지능 등 4차산업 혁명이 진행되는 등 북한 ICT의 변화 정도가 빨라져, 북한 ICT에 대해 제대로 알고 협력 가능 분야를 발굴해서 비 정치적인 기술분야에서 남북 교류협력에 대비할 필요성이 큼
#통일 ICT 전문가 아카데미 #ICT #남북교류협력
[교육지원] [2021 통일나눔펀드 지원사업] 2021-2022 한반도평화 연구 대학원생 온오프 워크샵
...않았기에 워크샵 이전에 사전안내할 교육이 부족. 이에 새로이 해외기관 맛보기 및 관점을 넓혀줄 온라인특강을 중도변경 기획했는데 호응이 컸고, 워크샵 소개로 이어졌음 - 다양한 전공 : 북한학, 정치외교학, 통일학 등 전공 외에 다양한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반도 평화를 연결한다는 기획 또한 적절하였고, 실제 개발정책학, 역사학, 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전공배경을 포함한 지원자들이 참가하였음. ◾ 사업참여 인원 - 온라인 특강 : 신청자 37명, 실제 참가자도 24명으로 효과적이었음. - 워크샵 : 워크샵의 경우 10~12명을 기대하였고 지원자 12명으로 이 중 11명을 선발하여 기준에 부합. 그러나 선발 후 사전 교육 과정에서 2명이 중도하차하는 상황이...
#통일 분야 #북한 분야 #차세대 대학원생 #온오프 워크샵
[교육지원] [2021 통일나눔펀드 지원사업]외신기자 아카데미
◎ 적절성 ⦁한반도에 대한 외신기자들의 이해 수준을 높이는 것에 충실했고, 외신 기자들에게 질 높은 북한 관련 기사의 주제를 제공하는데 적절한 구성이었다고 평가됨. ⦁그러나, 통일에 대한 필요성이나 공감대 형성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통일 교육이 이뤄지진 못했음. ⦁다만, 모든 강의에서 북한 정권의 폐쇄적 정책이 주민들과 한반도 정치 상황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충분히 논의되고 다뤄졌기 때문에 북한의 민주화 또는 개방에 대한 필요성을 공감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판단됨. ⦁실제 참여율이 목표의 70%로 나타남. 갑작스런 스케쥴 변동이나 사정으로 인해 참석자들이 불참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 예상보다 낮은 참여율의 원인...
#통일나눔펀드 # 데일리NK #외신 #기자아카데미
[웹진] 아카이브8000만 웹진 4호
...느끼고, 한반도 통일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형성하게 되었다. 독일 통일 경험은 한반도 통일을 준비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교훈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통일은 단순한 정치적 결단이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통합이 필요한 복잡한 과정임을 알게 되었다. 더 나아가, 통일은 정부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참여와 평화적 접근이 수반되어야 함을 깊이 깨달았다. 독일에서의 경험에서 얻은 다양한 교훈들을 적용하여 한반도 통일을 준비하고, 남북 상황에 맞는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통일의 방향을 모색하는 수업을 계획하여 의미 있는 통일 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통일과나눔 #웹진 #인터뷰 #강택구 #유엔사령부 #탈북민이야기 #자윤식품 #딱친구일기 #신간도서 #2024 북한인권보고서 #김정은 시대 북한의 벼랑 끝 전략
[웹진] 아카이브8000만 웹진 3호
...style="font-size: 14px;"‘단한’(斷韓)정책은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지난 2월 말 재일조선총련(조총련)에 단한령이 내려졌다. 이 지령은 대한민국의 민주적인 인사, 단체와의 관계를 차단하고 민족이라는 단어를 쓰지 못하게 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앞으로 일체의 통일 교육도 진행하지 못하게 했다. 김정은 정권의 강한 단한(斷韓) 기조를 드러내는 대목이다. 이 같은 변화에 평화 통일을 민족 교육의 핵심 기둥으로 삼아왔던 조총련 내에서는 많은 혼란이 일고 있다고 한다. 앞으로 재일 조선인 사이에서 조총련 이탈 움직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 다음에는 지난 4월 아시아프레스가 북한 내부 취재 협력자와 전화 인터뷰한 내용을 소개한다.
#통일과나눔 # 웹진 # 인터뷰 # 윤영관 # 북러동맹조약 # 이시마루지로 # 단한령 # 탈남현상 # 탈북민이야기 # 김성희 # 하나도가 # 딱친구일기 # 신간도서 # 어떤불시착 # 동맹의기원
[북한] 북 ‘사상교육’ 유학생 소환에 “탈북 고민 많을 듯”
앵커:중국과 러시아에 체류 중인 북한 유학생들이 최근 소환 지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코로나 이전에 주기적으로 해오던 사상 교육을 위한 것으로 알려졌는데,한국 정부는 북한의 이번 조치가 북한 유학생들에게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조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유학생 #사상 교육 #정치 강습
[웹진] 아카이브8000만 웹진 2호
...합니다.진정한 지식인이라면 민족의 자주독립,자유,인권,발전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통일은 이러한 가치와 직결된 핵심 과제입니다.그럼에도 일부 지식인들이 반통일 주장을 퍼뜨리는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학교에서도민족사 교육을 통해 통일의식을 심어주어야 합니다.중국이 동북공정 같은 역사왜곡을 통해 영토확장을 시도하는데,우리는 역사적 사실을 지키고 민족의식을 고취해야 합니다.또 북한이 동족 개념을 파괴하고자 하는데 그럴수록 더 민족공동체를 강조해야 합니다.그리고 우리는 통일할 의지와 권리가...
#통일과나눔 # 웹진 # 김천식 # 인터뷰 # 북일교섭 # 박휘락 # 군사위협 # 마이니치신문 # 딱친구일기 # 탈북민이야기 # 평천면옥 # 평양냉면 # 헝가리아카이브 # 다음세대를위한남북주민통합 # 세개의전쟁 # 재단사업
[웹진] 아카이브8000만 웹진 창간호
...class="stb-fore-colored"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은 2015년 5월 출범한 순수 민간 통일운동 기구다. 170만 국민이 통일을 향한 간절한 염원으로 기부한 300억 원과 이준용 대림산업 명예회장이 출연한 약 2,000억 원의 주식 대금 등 약 2,300억 원의 기금이 밑거름이 되었다. 재단은 지난 9년 동안 통일 공감대 확산, 탈북 청소년 교육, 학술 연구 지원 등 통일에 대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오고 있다. (재)통일과나눔의 아카이브 구축과 웹진 출범을 맞아 재단 인턴 기자들이 이영선 재단 이사장을 만나 활동 계획과 남북관계 전망 등에 대해 들어보았다. 이 이사장은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와 한국경제학회 회장, 한림대 총장,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등을 지냈다. ...
#인터뷰 # 이영선 # 통일과나눔 # 화룡사건 # 한쿠바수교 # 딱친구일기 # 이십승십정책 # 우리는미국을모른다 # 북한미술의역사와전통
[사회/문화] 도항
...「1972년의 교육」은 파월을 위해 대기 중인 한국군 병사들이 유신헌법 국민투표 직전 받은 정치 교육을 묘사한다. 폭력적 동원과 공포, 현실의 부조리를 마주한 병사들의 고통을 통해, 국가가 개인의 일상을 어떻게 좌우하고, 침식하는지를 섬세하게 그린다. 「이름 석 자로 불리던 날」은 형제복지원 실화를 바탕으로, 이름이 아닌 숫자로 취급되던 한 청년의 죽음을 그린다. 부랑자라는 명목 아래 갇히고 학대당한 이들의 삶은, 국가가 법의 이름으로 자행한 폭력의 민낯을 드러낸다. 「그해 봄을 돌이키는 방법에 대해」는 1971년 대선을 배경으로 한 영화 〈킹 메이커〉 관람을 계기로 주인공이 청춘 시절의 연애와 시대의 격랑 속에서 겪은 선택과 후회를 되돌아보는 이야기이다. 개인의 사랑과 현실적 한계, 정치적 기억이...
#도항 #해방 #펜데믹 #한국 사회 #역사 #조갑상
[통일/남북관계] 그래서 평화통일이야!
...이야기해야 하며, 앞으로 10여 년간 논의를 지속하고 실천한다면, 오는 2045년은 분단 100년이 아닌 진정한 광복 100년이 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은 통일을 막연한 정치적 이상이 아니라, 청소년 자신의 미래를 결정짓는 현실적 문제로 풀어낸다. 통일을 두고 찬반을 나누기보다는, 왜 통일을 고민해야 하는지, 어떻게 준비하고 상상할 수 있을지를 묻는다. 자유롭고 창의적인 청소년들의 생각과 실천이 한반도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음을 따뜻하고 힘 있게 전달한다. 매년 5월 통일 교육주간과 6월 호국보훈의 달은 한반도의 미래를 생각하는 중요한 시기다. 이 책은 가족과 함께, 학교 친구들과 함께 평화와 통일을 이야기할 좋은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한반도의 미래를 열어갈 10대 청소년들에게...
#평화 #통일 #한반도 #분단 #북한 #서정배
[정치/군사] 원폭국제민중법정 제2차 국제토론회 자료집(1945년 미국의 핵무기 투하의 책임을 묻는)
...시장, 미국의 존 웨스터 대주교가 공동의장을 맡고 있으며, 법리검토팀, 홍보, 교육, 청중조직, 운영 팀으로 구성되어 현재 뉴욕 민중법정을 준비하고 있다. 국제파트너단체로 국제반핵법률가협회(IALANA), 국제화해위원회(IFOR), 일본반핵법률가협회(JALANA), '죽음의 상인 전쟁범죄' 민중법정추진위원회(Merchant of Death War Crimes Tribunal), 평화재향군인회(Veterans For Peace), World BEYOND War, Peace Action 등 30개가 넘는 단체들이 함께하고 있다. 강우일 주교는 인사말에서 “오늘날 동북아는 국제 정치적 갈등과 마찰로 무력충돌의 위기가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며 “동북아에...
#원포국제민증법정 #국제토론회 #미국 #핵무기 #투하 #원폭국제민중법정 국제조직위원회 #평화와통일을여는사람들
[사회/문화] 통일교육 에센스
이 책의 제목은 출판사와 협의하는 과정에 통일 교육 에센스로 정하게 되었다. 애초 대학 교양과정 정도의 교재로 생각했기에 처음 통일 교육을 받는 이들에게 필요한 수준의 내용을 담았다는 점에서 제목이 적당하다. 그렇지만 이 책은 단순히 통일 교육의 방대한 내용을 요약한 것으로 끝내지는 않았다. 세 가지 면에서 크게 차별성이 있는데 그 점에서도 통일 교육의 에센스라고 자부한다. 우선, 민족 중심의 통일관을 다시 강조했다. 민족의 관념이 상상의 공동체에 불과하다는 류의 서양 이론이 학계에 널리 퍼지고 우리나라도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점차 민족을 단위로 생각하는 통일론에 대한 믿음이 많이 옅어졌다. 또한 과거 독재정권의 유산으로 인해, 민족과 국가 같은 거대한, 우리가 속한 공동체의 의미에 대한...
#통일교육 #통일운동 #북한학 #권영태
[통일/남북관계] 2025 북한이해
...href="https://www.uniedu.go.kr/uniedu/home/pds/pdsatcl/view.do?mid=SM00001144limit=16sc=TeqOdrby=falseeqViewYn=trueodr=newsty=DOCUMENTht=DOCUMENTid=21147ty=DOCUMENTvw=imgodr=news"2025 북한이해 국립통일교육원은 통일문제 및 북한, 한반도 주변 정세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통일문제 이해』, 『북한 이해』를 발간해 오고 있습니다. 이 책자가 각급 교육기관 및 통일 교육 현장에서 통일문제와 북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북한 #이해 #정치 #군사전략 #군사력 #대외관계 #경제 #사회 #인권 #문화 #언론 #교육 #국립통일교육원
[학위논문] 統一敎育論 體系化와 道德科敎育 適用 硏究
.
#통일 교육 체계화 #통일 교육 적합성 이론 #통일 교육 상황 이론 #통일 교육 교수 이론 #민족 공동체 교육 #평화 교육 #정치 교육 #통일 교육과 교사 교육 #통일 교육의 기반 조성 방안 #통일 교육의 제도적 정착 #the systemiz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theory of educational suitability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theory of instruction #the theory of educational situation #ethnic community education #peace education #political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upheaval devices...
[학위논문] 통일한국의 행정체제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한다. 셋째, 돌발적 통일의 경우 통일과도기동안 한시적 행정조직의 설치·운영이 요청된다. 이에는 북한지역의 무정부상태에 대비한 비상치안대책단, 북한에 사유재산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북한재산관리청, 북한군의 동요를 방지하기 위한 군통합단, 북한내 과거를 청산하고 행정조직과 인력을 정비하는 북한행정관리청, 북한주민의 민주 교육을 실시하고 난민을 관리하는 민족통합관리청 등의 설립이 필요하다. 넷째, 통일이후 행정통합방안으로 통일한국의 행정조직은 현재 대한민국의 행정조직을 모체로 하여 운영하면서 통일로 인한 여건의 변화를 수용하여 필요한 조직을 신설하거나 변형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의 남한의 행정조직을 근간으로 하면서 필요할 경우 변형시키거나 새로운 부처를...
#통일한국 #행정체제 #통합방안
[학술논문] 북한 일상생활 중심의 통일교육 교재 개발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일상생활 중심의 통일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북한 사회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북한 주민에 대한 인간적 이해를 돕는 교수․학습 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있다. 북한에 대한 인식은 북한을 교류․협력의 대상으로 보는 한편 현실적으로 안보의 경계 대상임을 이해하는 균형 있는 북한관을 목표로 한다. 즉, 한쪽을 강조하면 다른 한쪽은 약해질 수밖에 없는 사실은 대립적이고 긴장 관계에 있는 관점의 형성을 목표로 하는 것이다. 통일 교육에서 북한이해 영역은 체제 및 구조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거시적 관점에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틀 안에서는 북한의 정치, 경제, 군사적 특징이 부각되고 따라서 북한사회에 대한 비판적 사고가 강조될 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조장될...
#통일교육 #북한이해 #일상생활 #고정관념 #북한 주민 #교수․학습 자료 #이상희
[학술논문] 한국에서의 사회갈등 논의의 의미연결망 분석 :주요 포탈에서의 핵심어간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계층’, ‘지역’, ‘갈등’, ‘세대’, ‘ 정치’, ‘한국’, ‘국가’, ‘계급’ ‘이념’, ‘역사’ 등의 키워드들이 위치하고 있었다. 둘째, 네트워크 중심과 가장자리의 중간부분에는 ‘집단’, ‘정부’, ‘정당’, ‘시대’, ‘대통령’, ‘ 교육’, ‘탄핵’, ‘박근혜’, ‘사실’, ‘관심’...
#갈등 #사회갈등 #갈등의 특징 #갈등의 유형 #생산적 갈등 #갈등의 의미연결망 #갈등네트워크 #오창우
[학술논문] 청소년의 통일․인성교육을 위한 전통문화와 茶文化 적용의 탐색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성적인 정치․경제 이론의 학습과 연구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인성의 훈련도 필요하다. 이는 분단으로 인한 정서적 이질감과 반목을 극복할 수 있는 내적인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사회통합과 통일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완화하고 조절하며 타협할 수 있는 인성 교육은 공감이 용이하며 가치 지향적이어야 한다. 남북한 공동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는 한 민족의 정체성과 언어의 유사성을 토대로 공감이 용이하므로 통일·인성 교육에 있어서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고에서는 통일과 사회․문화적 통합을 지향하는 인성 교육에서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전통문화의 구체화 된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되고 있는 차문화를 청소년의 통일․인성 교육을 위해 적용 가능한 콘텐츠로서...
#통일 #인성교육 #통일문화콘텐츠 #전통문화 #차문화 #곽미숙 #주영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