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남북관계] 북한학 박사가 쓴 북한학 개론
...북한의 정치권력, 통치
구조와 이념, 제
2장 김정은 시대 정치 변화와 과제, 제3장 북한 군대의 성격과
구조, 제
4장 북한의 외교, 제5장 북한의 경제 체제, 제6장 김정은 시대 경제정책과 현실, 제7장 북한의 과학기술, 제8장 북한의 대중문화, 제9장 북한의 여가문화를 통해 김일성-김정일 시대와 김정은 시대가 보여주는 북한 체제의 지속성과 변화를 담으면서, 특히 김정은 체제 10년의 성과와 한계를 중심으로 북한을 설명하고 있다. “김정은 체제 10년 동안 북한 사회는 많은 변화와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핵문제, 국제제재, 코로나19, 낮은 생산성 등 해결해야 할 숙제도 산적해 있다. 나아가 신냉전체제, 또는 다극체제가 등장하면서 북-
중-러, 한-미-일의 새로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