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직업장벽 극복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발현’, 작용/상호작용은 ‘지식자산의 강화’, ‘삶의 가속도 내기’, ‘미래지향적 발전계획’, ‘현실파지’, 결과는 ‘노동의 향유’, ‘동반성장 의지’, ‘상호 존중’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선택코딩에서는 ‘
사회적
편견과 자원의 부재, 사회 불안이라는 직업장벽을 경험했지만
사회적 지지를 긍정적으로 활용하고 자신의 가능성에 대한 발견과 신념을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주도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고 책임지는 과정’이라는 핵심범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이 직업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제안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