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변용유형의 결정요인: 개인적 특성, 가족요인, 친구요인을 중심으로
...통합, 분리유형 순으로, 중국출생의 경우 분리, 주변화, 통합, 동화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요인으로는 가족유형과 가족응집성이 문화변용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분리형이나 주변화형보다 통합형에 그리고 주변화형보다 동화형에 속할 가능성이 컸다.
친구요인으로는 양문화 공동체의
친구지지 모두 문화변용 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원문화집단으로부터의 지각된
친구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주변화형 보다는 통합형, 동화형, 분리형에 그리고 남한
친구로부터의 지각된
친구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분리형이나 주변화형 보다는 통합형이나 동화형에 속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문화변용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관계적 요인을 다각적으로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