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개념과 내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분단 이후 남북 간 적대적 대치 국면 속에서 반공사상과 안보담론이
통일
교육의 주요 이념적 토대였다면,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기점으로 화해협력과 평화공존의 방향으로
통일
교육의 패러다임은 전환됐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도 정권의 정치 성향에 따라서 한반도 평화와 화해 협력, 공존공영을 강조하거나 혹은 남한의 체제 우월성을 강조하면서 대북 압박정책과 북한 체제의 위협에 따른 안보 의식을 강조하는 등
통일
교육의 내용은 일관된 방향을 제시하지 못했고, 실질적 통합력을 저해했으며, 통일의 당위성은 설득력이 약해졌고,
사회적 대화를 통해서 통일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귀 기울일 필요성은 증대했다. 그간
통일
교육을 위한 교안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포괄하는 개론적 수준에서 구성돼왔고 대학의 전공 분야별 세분화·전문화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