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동북아평화 협력구상 내실화 및 실천을 위한 제언: 헬싱키 프로세스 재조명을 중심으로
...평화통일과 통일한국의 건설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임. 그런데 동북아 국제관계는 현재 이중적 긴장관계에 놓여 있음, 남-북한 관계, 미-중 관계, 북방3각(북-중-러) 대 남방3각(한-미-일) 등 냉전형 긴장구도와 함께 내년이면 태평양전쟁 종식 70주년이 되지만 일본군국
주의가 남긴 후유증이 여전히 잔존(일본-주변국간 역사인식 갈등과 영토 분쟁). Asia Paradox, 즉, 역내 경제관계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민족
주의 정서가 가중되고, 정치적, 군사적 긴장강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발생함. 소위 ‘협력안보’(cooperative security)의 어려움을 말 해주는 동시 그 필요성이 그만큼 더 절실해짐. 스톡홀름 국제평화문제연구소(SIPRI)는 이미 2012 년 전세계적으로 14년만에...